증권가 "은행株, 자본확충펀드로 불확실성 완화"
증권가 "은행株, 자본확충펀드로 불확실성 완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기자] 정부가 지난 8일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11조원 규모의 자본확충펀드를 조성키로 한 가운데, 은행주의 불확실성이 크게 완화됐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10일 금융권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조성되는 자본확충펀드의 도관은행(한국은행의 돈이 흘러 나가는 파이프 역할 은행)으로 기업은행이 선정됐다. 지난 2008년 은행 자본확충펀드 조성 당시 도관은행이었던 산업은행이 증자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은 한국은행으로부터 10조원 한도 대출을 받아 펀드로 이관하고, 1조원 한도로 자산관리공사의 후순위 대출 형태의 재원 조성에 참여하게 된다.

증권가에선 이번 자본확충으로 시중은행 및 기업은행의 리스크 부담이 크게 해소됐다고 진단했다.

유승창·박태윤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도관은행인 기업은행의 역할과 리스크 부담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이번 자본확충방안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현물출자를 받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자본확충펀드에 대한 1조원의 대출도 자산관리공사를 통해 이뤄져 리스크 부담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이철호·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이번 계획은 향후 상황 악화 가능성을 적절히 반영하면서 시장 예상을 초과하는 것"이라며 "개별 기업의 여러 이해관계자 입장을 조율하고자 노력했으며, 한은의 중앙은행으로서의 신뢰도 지켜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자본확충펀드 11조원과 수은 현물출자 1조원 규모는 구조조정 대비에 충분한 규모라는 설명이다.

이들 연구원은 "구조조정 원칙을 준수하지만 각 업체의 자구 노력을 촉구하며 이의 이행을 우선했다는 점에서 민간은행의 단기 불확실성은 크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재우·박정환 삼성증권 연구원도 "자본확충펀드 출범에도 기업구조조정 관련 시중은행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연구원은 "선제적인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으로 인해 대형 조선 및 해운사에 대한 익스포져가 크기 않고, 일부 자율협약이 진행 중인 기업들에 대해 이미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