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6개월 연속 감소…IMF 이후 최장기 마이너스 행진
투자 6개월 연속 감소…IMF 이후 최장기 마이너스 행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 생산, 임협 조기타결·개소세 인하 효과로 5년 만에 최대↑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반도체 설비투자 조정 등에 따른 영향으로 투자 지표가 20년 만에 최장기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8월 산업생산은 자동차 등의 호조로 두 달째 증가했지만, 소비는 제자리걸음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늘어 전달보다 0.5%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지수는 올해 6월 3개월 만에 감소세(-0.6%)로 돌아섰지만 7월에 바로 반등하고선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 고무·플라스틱 등에서 늘어 1.4% 증가했다.

특히 자동차 생산은 전달보다 21.8% 늘면서 2013년 8월(24.1%) 이후 5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북미·중동 지역의 수출이 개선되고 임금 협상 조기 타결로 완성차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자동차 판매가 늘어난 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2.5%p 상승한 75.7%였다. 구조조정으로 생산 장비가 효율화된 데다 자동차 등 광공업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1.1%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교육 등에서 줄었지만 보건·사회복지 등이 늘어 전달보다 0.1% 증가했다.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는 준내구재·비내구재는 감소했지만 내구재가 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6월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뒤 7월까지 두 달 연속 늘었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증가했지만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가 줄어 전달보다 1.4%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올해 3월부터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외환 위기 당시인 1997년 9월∼1998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한 이후 약 20년 만에 최장기간이다.

호조세를 보이던 반도체업체 설비투자가 올해 3∼4월경 마무리되면서 투자 지표 둔화세가 계속되는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에 더해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감소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p 하락한 98.9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8월(98.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달보다 0.4p 떨어진 99.4를 나타냈다. 이번 낙폭은 2016년 2월(-0.4)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