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금리, 고정형이 변동형 하회 '비정상'
주택대출 금리, 고정형이 변동형 하회 '비정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정형은 급락 변동형은 소폭 하락...자금 시장 교란 요인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moon@seoulfn.com>장기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급락하면서 변동금리형 대출금리를 밑도는 사실상의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시장원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금시장을 교란시켜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요인으로 작용할까 우려된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이번주 초 고정금리형 주택대출 금리(3년 고정 기준)는 연 6.37~7.97%로 지난주 초에 비해 0.60%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지난 14일에 비해서는 무려 1.16%포인트나 하락한 것. 반면, 3개월 변동금리형 대출금리는 6.45~8.05%로 2주 전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이는, 국민은행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연동돼 금리가 결정되는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도입한 2004년 이후 처음있는 일이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고정금리형 대출금리도 14일에 비해 각각 1.16%, 1.12% 하락한 6.78~8.28%와 6.71~8.11%로, 최저금리가 지난 2주일 동안 0.10%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친 변동금리형 대출금리 밑으로 하락했다.

농협도 고정금리가 2주 전에 비해 1.08%포인트 떨어진 6.29~7.49%로 변동금리(6.58~8.18%)보다 낮다. 이밖에, 외환은행과 기업은행도 최고 금리 기준으로 고정금리가 7.80%와 8.00%로 2주 동안 각각 0.34%포인트, 0.44%포인트 떨어지면서 각각 8.01%, 8.21%인 변동금리와 금리가 역전됐다.

이처럼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를 하회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현상이다.
증시 등에 유입됐던 시중 유동성이 빠른 속도로 은행(예금)으로 회귀하는 가운데, 은행채 금리가 CD 금리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91일물 CD금리는 현재 5.76%로 이달 10일 이후 0.13%포인트 하락했지만, 3년 만기 AAA급 은행채 금리는 8일 6.99%를 기록한 이후 24일까지 무려 1.40%포인트나 급락했다. 현재 5.59%수준이다. 

문선영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