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원자재값 급등→국내 물가상승 유발···최대 0.2%↑"
한은 "원자재값 급등→국내 물가상승 유발···최대 0.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OK이슈노트···'국제원자재 가격 상승배경 및 파급영향 점검'
원자재 가격 10% 인상 시, 소비자물가 최대 0.2% 상승 효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대파, 달걀 등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대파, 달걀 등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이 글로벌 경기회복에 가장 위협 요소로 꼽히는 가운데 원자재 가격이 추세적으로 10% 상승할 때 소비자물가는 최대 0.2%까지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내년엔 점차 안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향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공포'는 예상보다 커질 수 있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9일 한국은행은 'BOK이슈노트'에 실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배경 및 국내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한은은 국제원자재 가격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 원유를 중심으로 급락했으나 이후 빠르게 상승해 거의 모든 품목이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원자재 가격의 '슈퍼사이클(장기적인 상승 추세)' 진입여부에 대한 관심도 최근 고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은 △글로벌 경기회복 △수급 차질 △투기수요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국 제조업 생산활동이 재개되고, 품목별로는 추가 수요요인도 맞물리고 있다. 공급에선 과잉재고 해소를 위한 원유 감산, 중국-호주 간 국제정치 갈등(알루미늄) 등이 제약 요인으로 꼽히며,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품목으로 투기자금까지 유입돼 비상업 순매수포지션이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결국 원유·금속·곡물 가격 상승은 각각 석유류·금속관련 제품·외식비 등을 통해 국내 소비자물가를 자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의 물가상승에 대한 자기실현적 기대가 실현되면서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지난 1960~1980년대 미국의 경우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물가와 실업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의 상향이동을 초래하기도 했다.

원자재가격이 추세적으로 상승(10%)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최대 0.2%(4분기 후) 상승(일시적 상승 시 0.05%)하며, 충격의 효과가 장기에 걸쳐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정성 한은 조사국 물가연구팀 차장은 "추세적 상승의 구체적인 시기를 측정하기는 어렵고, 임의로 상승폭을 추정해 분석한 결과"라며 "원자재 가격의 추세적 상승은 대체로 성장률을 하락시키지만 그 폭은 제한적인 반면, 일시적 변동의 경우 성장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국제 원자재 가격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가능성에 대해선 당장 판단하기 어렵다는 관측을 내놨다. 친환경 산업의 성장속도, 글로벌 경기회복의 지속성 등에 대한 견해에 따라 상이한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는 친환경 투자 확대를 배경으로 하는 '그린경제'가 산업 전반의 인프라 투자 확대로 이어져 구리, 니켈 등 연관 원자재뿐만 아니라 원자재 전반의 상승사이클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신흥국 경제가 과거 슈퍼사이클을 주도했던 수준의 고성장세를 회복할 가능성이 크지 않아 공급이 수요 확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은도 진입여부 평가를 위해 원자재 가격 상승요인을 분석한 결과, 슈퍼사이클 진입을 판단하기에는 불확실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결론적으로 슈퍼사이클 초입 수준까지 왔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슈퍼사이클 진입 여부 판단 기준으로 꼽히는 그린경제가 어떻게 미래에 원자재 가격 수요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것인지에 대해서도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선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워 보인다"라고 말했다.

김 차장은 "향후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생산자물가나 기대인플레이션 경로를 통해 물가상승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물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