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팬데믹 이후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상당 기간 지속됨에 따라 기업들의 가격조정행태가 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장기화된 고물가 상황 속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 변동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들은 가격 인상빈도를 늘리면서 비용압력에 대응한 반면, 가격 조정폭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없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국내기업의 가격조정 빈도(인상·인하빈도, 할인 등 일시적 조정 제외)는 지난 2018~2021년 기준 월평균 11% 수준이었지만,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 중 인상빈도가 늘면서 2022~2023년 기준 15.6%까지 상승했다. 이에 평균적인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반면 국내 생필품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됐다. 인하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이 팬데믹 전후로 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는 의미다.
이는 고물가 시기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민감도,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인상시 '폭'보다 '빈도'를 조정했음을 뜻한다. 이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고인플레이션 기간에 할인 등 일시적 가격조정이 증가하며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편차도 확대됐다. 이는 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가격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할인 등 일시적 가격조정을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가동향팀이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기업의 가격인상 빈도가 변화하는 행태를 반영한 모형을 구축, 분석한 결과, 두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먼저 유가상승 등 물가관련 충격의 크기가 크거나,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인상 빈도도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된다는 점이다.
두번째로 물가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동일한 비용충격에도 인상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된다는 것이 확인됐다.
보고서를 집필한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 발생시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며 "향후 물가상황 판단시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 점검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