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 관망세 확산…서울 하락 전환
[매매] 관망세 확산…서울 하락 전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계절적 비수기, 투자수요 위축 등으로 거래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 서울 매매시장에서는 약세가 짙어지는 모습이다. 일부 실수요자들이 움직이는 단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매수자 부재로 거래가 이뤄지지 못하자 매도자들이 매도호가를 하향조정하는 모습이다.

16일 부동산써브 등에 따르면 5월3주(5월9일~15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신도시·인천이 보합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이 0.01% 하락한 반면 경기는 0.01% 상승했다. 서울이 2주 만에 하락 전환했으며 신도시·인천은 3주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0.01%로 약세를 보였다. 강동구(0.09%), 서초구(0.05%)가 상승했고 강남구(-0.08%), 영등포구·종로구(-0.03%), 구로구(-0.02%), 강북구(-0.01%)는 하락했다.

강동구는 고덕동 일대가 올랐다. 재건축 단지인 고덕주공2단지가 오르면서 고덕동 일대 상승세를 이끈 것이다. 그동안 주민갈등을 겪었던 고덕주공2단지는 오는 7월 초 관리처분총회를 개최하고 가을에는 본격적인 이주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 속도가 빨라지자 매수자 문의가 늘면서 거래도 증가하는 추세다. 42㎡가 2500만원 오른 4억1000만~4억2000만원, 49㎡는 1700만원 오른 4억7000만~4억8000만원이다.

서초구도 재건축 단지 영향으로 잠원동 일대가 상승했다. 특히 한신6차의 경우 시공권 소송이 마무리되면서 사업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조합원들도 사업추진 기대감에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높이고 있다. 한신6차 116㎡가 4200만원 오른 9억8000만~10억5000만원, 한신4차 114㎡는 2000만원 오른 9억9500만~10억7000만원이다.

반면 강남구는 개포동 일대가 하락했다. 개포지구 재건축 후 단지 수가 늘어나는 만큼 학교가 신설돼야 하는데, 교육청의 요구에 따라 각 조합원이 부담해야 할 금액이 1억원이 넘어 재건축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분담금을 놓고 재건축 조합이 교육부와 협의 중이지만 수요자 문의가 줄어들자 저가 매물이 나오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주공1단지 53㎡가 3000만원 하락한 8억5000만~8억7000만원, 42㎡는 2000만원 하락한 6억8000만~7억원이다.

경기는 0.01%로 소폭 상승했다. 용인시(0.09%), 오산시·안산시·수원시(0.03%), 평택시(0.02%)가 소폭 올랐고 광명시(-0.02%), 남양주시(-0.01%)는 하락했다.

수원시는 정자동 및 매탄동 일대가 소폭 올랐다. 급매물이 소진된 이후 거래가 주춤한 모습이지만 소형은 소폭 오른 가격에도 거래가 이뤄지기도 한다. 정자동 현대벽산 79㎡가 1000만원 오른 2억500만~2억2500만원, 매탄동 81㎡는 500만원 오른 2억9800만~3억2700만원이다.

신도시는 0.00%로 일산(0.03%)만 소폭 올랐다. 일산은 호수공원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가 올랐다. 매도자들이 매물을 전세로 변경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매물이 귀한 편이다. 그동안 거래가 없던 중대형 문의도 점차 늘면서 거래로 종종 이뤄지는 모습이다. 장항동 호수3단지삼환유원 155㎡가 1500만원 오른 4억3000만~5억1000만원, 호수1단지대우 72㎡는 1000만원 오른 1억8000만~2억원 선이다.

인천도 0.00%로 보합세를 보였다. 남동구(0.01%)만 소폭 올랐다. 남동구는 서창동 일대 새아파트가 올랐다. 인근 남동공단 근로자 수요로 주변 아파트 매물이 귀해지면서 서창2택지지구 내 위치한 아파트 매매가도 소폭 올랐다. 아직 입주 3년이 되지 않아 매물도 없고 거래도 적은 편이지만 인근 시세에 맞춰 호가가 조정됐다. 서창동 인천서창2휴먼시아(7블록) 110㎡가 300만원 오른 2억5000만~2억9000만원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