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74% "국내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요인은 美中 무역분쟁"
전문가 74% "국내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요인은 美中 무역분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경제전문가들이 국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지속되는 국내 경기둔화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9일 공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 전문가 92명 가운데 74%가 주요 금융 리스크 요인(전문가별 5개 복수 응답)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지목했다.

미중 무역분쟁을 1순위로 꼽은 응답자도 39%나 됐다. 뒤이어 '국내 경기둔화 지속'이 위험 요인이라고 생각한 전문가가 52%로 절반을 조금 넘었다. 이밖에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이 비슷한 비중으로 주요 위험 요인에 꼽혔다.

미중 분쟁, 국내 경기둔화, 글로벌 경기 둔화는 단기(1년 이내) 위험 요인으로 꼽혔으나, 가계부채 문제와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 위험 요인으로 여기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지난 5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미중 무역분쟁을 선택한 답변 비중이 67%에서 74%로 커졌고, 국내 경기둔화 지속을 선택한 비중은 66%에서 52%로 줄었다.

1년 안에 금융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5월 4%에서 13%로 상승했다. 발생 가능성이 작다고 본 비중은 53%로 지난번(52%)과 유사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1∼29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교수·연구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경제·금융 전문가 총 83명을 상대로 이메일(일부 면담 조사 포함)을 주고받는 형태로 이뤄졌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