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잇따른 중대재해 사망사고···"실질적인 예방 대책 필요"
조선업 잇따른 중대재해 사망사고···"실질적인 예방 대책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3일 부산 조선소 화재로 2명 사망···압사 사고 발생 4일 만에 발생
수주 증가, 외국인·비숙련 노동자 유입으로 이어져···안전 부족 등 발생
지역 노동계 "중대재해 발생 사업주 구속, 재해 예방 대책 수립 촉구"
조선소의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조선소의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김수현 기자] 연이은 조선업 현장의 사망 사고 소식에 안전 관리 실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재해 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부산 다대동 소재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컨테이너 운반선에 불이 났다. 이날 화재로 베트남 국적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고,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던 한국인 노동자 또한 사고 다음날 숨졌다.

지난 9일 고성 금강중공업 조선소에서 압사한 사고가 발생한지 불과 4일 만이다. 이날 123톤 중량의 선박 구조물이 떨어져 40대 노동자 1명과 캄보디아 국적의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같은 날 전남 영암군 HD현대삼호중공업 부두에서는 20대 하청 근로자가 잠수 중 사망하는 사고 또한 발생했다. 이로 인해 올해 조선소에서 발생한 중대재해 사망자는 총 12명에 달한다.

업계는 최근 수주량이 늘면서 작업량은 증가했지만, 자국인 인력 충원 부족으로 외국인과 비숙련 노동자들이 다수 유입돼 사고 발생 빈도가 늘었다고 분석한다. 하청 업체로 갈수록 노동자들은 파트를 자주 옮겨 다녀 작업 숙련도가 낮으며, 안전교육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없어 작업의 위험도도 높인다.

지난달 고용노동부는 조선업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8개 주요 조선사와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조선업 안전 문화 확산 업무 협약'을 체결했지만, 현장에서는 허울뿐이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협약의 내용은 조선사·고용부·안전공단 참여의 협의체 구성, 합동 점검 실시, 안전 수칙 안내 등을 내용으로 하며, 하청 구조에 대한 개선과 노동자들의 참여는 빠져있다.

노동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남 지역 노동계는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업주를 즉각 구속하고, 고용노동부를 포함한 정부 조직, 경남도 등은 재해 예방 대책을 수립해 발표하라"고 말했다. 이들은 다음 달 300명의 청구인단을 모집해 선박 수리 조선소 위험과 관련한 국민 감사청구도 진행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