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美 출장서 '바이오·반도체' 미래사업 현장 살펴
최태원 회장, 美 출장서 '바이오·반도체' 미래사업 현장 살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빅테크 연쇄 회동 직후, SK바이오팜 미국 법인 찾아 뇌전증신약 현황 점검
SKC 자회사인 앱솔릭스 글라스 기판 공장 방문해 상용화 진행상황 살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본사를 찾아 바이오 사업 현황을 점검헸다.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본사를 찾아 바이오 사업 현황을 점검헸다.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서울파이낸스 서종열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미국서 SK그룹의 미래사업을 점검했다. 

SK그룹은 7일 최 회장이 SK바이오팜의 미국법인과 SKC 자회사 앱솔릭스를 직접 방문해 미래사업에 대한 현장점검에 나섰다고 박혔다. 지난달 22일 미국으로 출국한 최 회장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인텔 등 글로벌 ICT 기업들의 CEO들과 연쇄회동을 가진 후 바로 미 동부지역으로 이동해 미래사업 현장을 살폈다. 

가장 먼저 찾은 곳은 미국 뉴저지에 자리한 SK바이오팜의 미국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다. 이곳에서는 SK바이오팜의 뇌전증 혁신 신약인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미국 직판 상황 등을 점검했다.

세노바메이트는 최근 총 처방 환자 수가 10 만명을 돌파하며 뇌전증 영역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해 신약시장의 신흥 강자로 인정받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최근 글로벌 빅파마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표적단백질분해치료제(TPD)의 핵심기술 보유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구 프로테오반트社)를 지난해 인수한 뒤 파이프라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일 이곳을 찾은 최 회장은 구성원들에 대한 격려와 함께 "최근 미국의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추진이 국가안보정책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대응 방안을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최태원 회장(가운데)은 지난3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커빙턴시에 위치한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를 찾아 세계 최초 글라스 기판 양산 공장을 둘러보고 사업 현황을 점검헸다.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태원 회장(가운데)은 지난3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커빙턴시에 위치한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를 찾아 세계 최초 글라스 기판 양산 공장을 둘러보고 사업 현황을 점검헸다.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이어 3일에는 조지아주 커빙턴시에 위치한 앱솔릭스를 찾아 세계 최초 글라스 기판 양산 공장을 둘러보고, 사업 현황에 대해 보고 받았다. 

앱솔릭스는 SKC가 고성능 컴퓨팅용 반도체 글라스 기판 사업을 위해 2021 년 설립한 자회사다. 글라스 기판은 AI 반도체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는 가운데 반도체 패키지의 데이터 속도와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초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글라스 기판은 하반기 중 고객사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HBM 등 AI 반도체의 급격한 성장에 힘입어 고순도 유리 기판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 회장도 이번 출장 중 만난 빅테크 CEO 들에게 글라스 기판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며 세일즈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SK 관계자는 "최 회장의 출장 결과를 바탕으로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관련 멤버사가 빅테크 파트너사들과 함께 SK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후속 논의 및 사업 협력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