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승인 받은 유한양행 "제2, 3의 렉라자 만들 것"
美 FDA 승인 받은 유한양행 "제2, 3의 렉라자 만들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한양행 기자간담회 개최 (사진=권서현 기자)

[서울파이낸스 권서현 기자] "렉라자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았다. FDA 승인이 있을 때까지 헌신적인 노력을 한 존슨앤드존슨(J&J) 대표 등 관계자에게 감사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 유한양행은 제2, 3의 렉라자 탄생을 위해 더 힘낼것이며 많은 성원과 가르침 부탁드린다."

최근 렉라자 병용요법으로 미국 FDA 허가를 받은 유한양행의 조욱제 대표이사는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는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이사 (사진=권서현 기자)

이번 행사에는 조욱제 대표이사, 김열홍 연구개발(R&D) 부문 사장, 오세웅 중앙연구소장, 이영미 연구사업개발(R&BD) 부문 부사장 등이 참석해 FDA 승인 이후 유한양행의 경영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김열홍 R&D 부문 사장은 "유한양행은 해마다 매출액 대비 20%가량을 R&D 연구비로 투자하고 있다. 올해에는 총 2500억원에 이르는 연구비가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제2, 3의 렉라자가 될 수 있는 후보물질을 개발·도입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R&D뿐만 아니라 원료의약품(API), 완제의약품(DP) 생산 부문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인정받아 여러 가지 공동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유한양행은 오랫동안 쌓아온 노하우에 기반을 두고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관계를 증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음으로 마이크를 잡은 오세웅 중앙연구소 부사장은 R&D를 기반으로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세웅 부사장은 "현재 임상 파이프라인은 8개가 있고 올해 하반기 및 내년 임상에 착수할 파이프라인은 4개 이상으로 예상된다"며 "내년에 파이프라인을 12개 이상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표 파이프라인 가운데 하나로 알레르기 치료제 'YH35324'를 지목했다.

마지막으로 이영미 R&BD(사업화 연계 연구개발)본부 부사장은 유한양행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강화에 대해 전했다.

이영미 부사장은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질환군은 항암, 심혈관, 신장, 대사질환, 면역염증질환 등으로 항암은 렉라자를 선두로 해 고형암 중심으로 찾고 있는데, 특히 베스트 인 클래스로 진행할 수 있는 타겟을 찾고 있다. 새로운 모달리티에서도 기존 치료제의 언맷니즈를 해결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리뷰하고 있다"며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한국 제약산업의 성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